전체 글

@Jsonproperty 필드를 프로퍼티로 내기 위해서 @jsonproperty를 명시적으로 붙여줘야하지만 안 붙여줘도 잘 작동한다.
whole number 0,1,2,3,4,5..... Natural Numbers(counting) 1,2,3,4,5.... integer -5,-4,-3,-2,-1,0,1,2,3,4,5 rational number(유리수) = 분수 + 정수(integer) real number(실수) = 유리수 + 무리수 irrational numbers(무리수) = 분수로 쓸 수 없는 값 idenetity number(항등원) 원래의 값이 변하지 않는 수 +의 idenetiy number = 0 X의 identity nubmer= 1 반수 = 반대가 되는 수 1 -1 4 -4
mysql_secure_installation가 계속 안나오길래 하라는 방법대로 전부 했는데 해결이 되지않았다. 그냥 homebrew 재설치해고 Mysql 지웠다 재설치하니 잘 된다. 끝
const interval = setInterval(function (){ el.style.opacity=round*0.1; round++; if(round > 10){ clearInterval(interval); } },20); clearInterval로 js의 interval를 종료할 수 있다.
afterEach는 A컴포넌트에서 B컴포넌트로 넘어간 후 실행할 코드를 적는다. 넘어간 후이기 때문에 파라미터로 next가 필요없다. 요컨대 이동 액션(action)이나 사용자의 페이지 변경을 로그로 남기는 등 afterEach로 수행할 수 있다. import { createApp } from 'vue'; import { createRouter, createWebHistory } from 'vue-router'; import App from './App.vue'; import TeamsList from './components/teams/TeamsList.vue'; import UsersList from './components/users/UsersList.vue'; import TeamMembers f..
두개의 함수 f(n)과 g(n)이 주어졌을 때, 모든 n >= k에 대하여 f(n)
–: 구획 제목을 나타냅니다 HTML – 요소는 6단계의 구획 제목을 나타냅니다. 구획 단계는 이 가장 높고 은 가장 낮습니다. 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HTML/Element/Heading_Elements List : 목록 unordered list : 순서가 없는 리스트 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HTML/Element/ul 브라우저는 영리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 텍스트가 목록의 항목이라는 것을 알려주기위해 를 붙여줘야한다. 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HTML/Element/li ordered list : 순서가 있는 리스트 https://developer...
이진 탐색 알고리즘이란 절반씩 중앙값을 비교하여 원했던 값을 찾는 알고리즘이다. 2를 찾고 싶다면 1 2 3 4 5 6 7 8 9 F C L C를 L로 바꾸고 (F+L) / 2를 하여 새로운 중앙 값을 구한다. 1 2 3 4 5 F C L 이후 해당 과정을 반복하여 남은 값이 하나가 될때까지 반복하는 것이다. 마지막으로 남은 값 하나일때 이 값이 2인지 아닌지 판단한다. 2 FCL 즉 최악의 경우는 K(한개가 남기전까지 연산한 횟수)+1(마지막으로 남은 값이 원하는 값인지 확인하기위한 연산)이 되는 것이다. 따라서 생각 해보면 위의 과정들은 배열 n개가 있을때 일때까지가 최악인 것을 알 수 있다.(K는 연산 횟수이다.) 즉 는 이고 해당 수를 k(연산횟수)로 잘 보기위해 로그로 변환한다면 하지만 n이 1..
키보드발
개발블로그